사업 안내

여러 나라의 취약계층에게 
국적과 종교와 문화차이를 넘어선 인간애의 실천을 통해 
그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함.



주거 지원사업

그림1(0001).png
◾공동생활가정 운영

주거 취약계층의 자립을 위하여 공동생활가정 형태의 그룹홈을 제공하여 임대주택 등으로 입주하는 것을 지원합니다.
가정 폭력 등 여러가지 상황에 의해 돌봄이 필요한 여성과 위기상황에 있는 청소년을 위한 일시 보호시설로 운영하며 개인의 상황에 따라 기초생활수급을 진행을 지원하고 학업이나 취업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긴급 주거비 지원

가족이 없거나 도움이 필요한 취약계층에게 긴급한 상황에서 주거비를 지원하여 지역사회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돕고자 합니다. 
지속적인 관계를 통해 자활의 의지가 있는 분들을 대상으로 임대주택 보증금 등을 지원합니다. 


교육ㆍ생활 지원사업

청소년-카페의-내부와-외관-사진
'청소년카페’ 운영

돌봄이 필요한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가족 같은 돌봄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다양한 클래스와 활동을 통해 대상 아동·청소년의 건강한 정체성과 사회성 형성을 지원합니다.

◾긴급 생활지원 및 교육지원

가족이 없거나 도움이 필요한 취약계층에게 긴급한 상황에서 생활비 또는 물품 지원하고 자립과 사회 구성원으로의 회복을 위한 교육을 지원합니다. 


의료 지원사업

서북병웥.jpg
◾공공의료기관 의료비 지원

보험이 없거나 체납되어 혜택을 받을 수 없는 취약계층 및 인도적 체류상태의 외국인, 위기 청소년의 긴급한 의료비를 지원합니다. 
(서북병원을 중심으로 지원활동이 이루어집니다.)

◾민간의료 네트워크

공공 의료기관 진료 후에 위급한 상황인 경우 민간의료 의료진들과의 네트워크를 통해 치료를 지원합니다.


일자리 창출사업

스마일박스.gif

◾'스마일박스' 운영 
        - 취약계층 비즈니스 인큐베이팅 프로젝트

단체 협력을 통해 사회 취약계층과 함께 직화덮밥과 설탕제로 프리미엄 짜장 식당 비즈니스를 시작하여 브랜드 개발과 펀딩을 진행하고 사회적경제 지원사업에 참여하며 사업체를 운영합니다.

◾사회적 일자리 제공

외국인 여성, 고립 청년 등 사회적응 훈련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다양한 조건으로 일자리를 제공하며, 위기 청소년들이 돌봄과 함께 경제적 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해외 사업

태국사역.png

2016년 태국 'Bannokkamin'과 'CFT foundation'과 협약을 체결하면서 해외 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고아원과 협력하여 음악 교육(피아노, 바이올린)과 영어 및 한국어 교육을 제공하였습니다. 음악 교육을 받은 아동들은 음악회를 통해 지역사회 앞에서 공연하는 기회를 가졌으며, 이는 아동들의 자존감 향상과 예술적 역량 개발에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또한 청년들을 대상으로 건강, 정체성 및 자아 존중감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교육 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한편, 윤락가 지역 아웃리치를 통해 성매매 여성들을 대상으로 상담과 정서적 지지를 포함한 지원 활동을 전개하였습니다.
이집트(0001).gif

2016년 이집트 'Heart of Development'와 협약을 체결하면서 이집트 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고통받는 아동을 위한 교육과 돌봄,  가정 회복을 위한 프로그램, 와디나트룬 지역개발사업 협력을 진행합니다.
모카탐 쓰레기마을 아동을 대상으로 건강 및 영양상태 돌봄과 기본적인 학업을 지원하며  새로운 삶의 의미를 찾고 자신만의 정체성을 실현할 수 있는 진정한 희망을 제공하고자 '보호의 집'을 협력 운영하고 있습니다. 

모카탐.gif
이집트 사회는 수십 년 동안 축적된 많은 문제로 고통받고 있으며, 그중 가장 심각한 것은 경제, 사회, 문화적 문제와 얽힌 교육 문제입니다.
 
2000년 이후 이집트에서는 초등학생 연령대의 미취학 아동 수가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학교 교육에서 배제될 위험이 높은 대상은 가난한 아동과 소녀들입니다. 
가난과 어린이 노동은 많은 아동을 학교 밖으로 내몰고 있으며, 부모의 태도 역시 교육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고 자녀의 노동 참여를 원하기 때문에 많은 아동이 학교에 다니지 못하고 있습니다.

2019년에 모카탐 쓰레기마을의 가정을 방문하며 접한 아동의 생활모습은 이곳에서 사업을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쓰레기마을에 사는 대부분의 부모들은, 아들은 일곱 살때부터 쓰레기 수집과 재활용 작업을 시키고, 딸은 가사 도우미로 일을 보내고 열네 살이 되면 결혼 준비를 시킵니다.
우리는 이곳의 도움이 필요한 아동을 위한 생명나무 프로그램을 HOD와 협력하여 '보호의 집'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카이로 엘 캄사엔 지역과 상부 이집트의 엘 미나 지역에서도 생명나무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와디나트룬 지역에서도 사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서울특별시 강서구 금낭화로 135 금강프라자빌딩 201호
Tel. 02-384-0555    Fax. 0505-355-0555    
후원계좌. 우리은행 1005-703-082455 사단법인회복나눔네트워크
blog-.png